노마드.리 블로그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와 재테크 정보를 공유합니다.
B.BITCOIN 비트코인(가상화폐) T.TSLA 테슬라(미국주식) S.SEOUL 서울(부동산)

미국, 네 번째 금융시스템 변화의 서막.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행정 명령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 명령을 통해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을 설립하고, 비트코인을 금처럼 국가의 전략 준비금으로 가져가겠다고 선언한 시대가 도래하였습니다. 이는 단순한 정책 변화가 아니라, 전 세계 금융 질서에 있어 중대한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1871년 이후 전 세계는 세 차례의 금융 시스템 지각 변동을 겪었습니다. 첫 번째 변화는 근본이재(금본위제), 두 번째 변화는 브레튼우즈 체제, 세 번째 변화는 페트로달러 시스템이었습니다. 이번 미국의 비트코인 전략 준비금 행정 명령은 이들에 이어 네 번째 금융 시스템 변화로 평가될 수 있는 중요한 사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이러한 금융 시스템의 변화가 일어날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의미를 명확히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과거 세 차례의 금융 시스템 변화에서도 사람들은 그 영향이 얼마나 큰지 체감하지 못했듯이, 이번 변화 역시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대응해야 할까요?

강남 아파트, 금, 그리고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 원인

강남 아파트의 가격이 계속 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반짝이는 돌덩어리인 금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디지털 금, 디지털 부동산이라고 불리는 비트코인의 가격이 계속 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미국 우량 주식들의 가격이 오르는 이유를 단순히 기업의 펀더멘탈(기초 체력)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더 근본적인 원인이 존재합니다. 이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돈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합니다.

돈이란 본래 시장 원리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생한 것이며, 과거에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금과 같은 희소한 자산을 돈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정부가 돈을 통제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지속적인 화폐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면, 화폐 가치의 하락을 방어하기 위해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우량 자산(부동산, 금, 비트코인 등)으로 자신의 자산을 이전하는 것은 매우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장기적으로 가치가 우상향하는 자산을 보유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투자라 할 수 있습니다.

자유 은행제에서 중앙은행 시스템으로의 변화

과거에는 중앙은행이 존재하지 않는 금융 시스템이 운영되었으며, 이를 자유 은행제라고 불렀습니다. 자유 은행제에서는 각 은행이 자체적으로 금을 보관하고, 예금을 받으며, 금으로 상환할 수 있는 은행권을 발행하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러나 중앙은행이 설립되면서 은행들은 반드시 자신의 준비금을 중앙은행에 예치해야만 하게 되었으며, 중앙은행은 이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부분 준비금 제도를 적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문제는 금융 위기 시 대규모 인출 사태가 발생하면 은행들이 유동성 부족 문제를 겪게 된다는 점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은행들은 더 많은 화폐를 발행하였고, 결국 통화 가치 하락과 금 태환 중단, 인플레이션을 초래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점차 금으로 가치가 뒷받침된 화폐 시스템이 붕괴되었고, 새로운 형태의 글로벌 금융 시스템이 등장하였습니다.

금융 시스템의 세 차례 변화와 현재의 상황

1871년 이후 글로벌 금융 시스템은 세 차례의 주요 변화를 겪었습니다.

  1. 근본이재(1871년~20세기 초)

    • 금을 기반으로 한 화폐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각국의 통화는 금에 대해 일정한 가치를 유지하였습니다.
    • 하지만 1차 세계대전과 함께 전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정부들은 대규모로 돈을 찍어냈으며, 이로 인해 금 태환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2. 브레튼우즈 체제(1944년~1971년)

    • 미국 달러를 기축통화로 설정하고, 각국 통화를 달러에 고정하는 방식이 도입되었습니다.
    • 그러나 1950년대 이후 미국의 재정적자와 달러 공급 증가로 인해 미국의 금 보유량이 줄어들었고, 결국 1971년 닉슨 대통령이 금 태환을 공식적으로 중단하면서 브레튼우즈 체제는 붕괴되었습니다.
  3. 페트로달러 시스템(1974년~현재)

    • 미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협정을 체결하여, 원유를 달러로만 거래하도록 만들었습니다.
    • 이를 통해 미국 달러는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글로벌 금융 시스템은 미국 중심으로 운영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25년 3월 7일,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을 전략적 준비 자산으로 채택한다는 행정 명령을 발표한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기존의 페트로달러 시스템이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디지털 자산이 본격적으로 국가 금융 시스템의 일부로 편입되는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역할과 금융 시스템의 미래

역사적으로 금융 시스템이 변화할 때마다 새로운 준비 자산이 등장하였습니다. 금본위제에서는 금이, 브레튼우즈 체제에서는 미국 달러가, 페트로달러 시스템에서는 석유 기반의 달러가 중심이 되었습니다. 이제 비트코인이 새로운 글로벌 준비 자산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에서 운영되며, 정부의 개입 없이도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급량이 한정되어 있어 인플레이션을 방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이 비트코인을 전략적 준비금으로 채택한 것은 이러한 특성을 인정한 것이며, 향후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 있어 비트코인의 역할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결론

과거 세 차례의 금융 시스템 변화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변화가 자신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충분히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비트코인 전략 준비금 행정 명령이 단순한 정책 변화로만 인식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네 번째 금융 시스템 변화를 의미할 수 있으며, 앞으로 디지털 자산이 기존 금융 질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이해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야말로 미래의 금융 환경에서 개인의 자산을 보호하고 성장시키는 핵심 전략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의 변화가 어떻게 진행될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며, 보다 깊이 있는 통찰력을 바탕으로 투자 전략을 세워 나가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